본문 바로가기

ESG

네이버 ESG 추진 전략

728x90
반응형

네이버

 

6/5일 환경의 날을 맞아서 네이버가 캠페인 광고를 쎄게 하고 있는데

관련 웹페이지를 개설해서 홍보를 하고 있길래 소개해볼까 함~ 

 

네이버 온실가스 배출량 검증은 22년발표한 21년 배출량이 최신

곧 23년에 22년 배출량을 담은 보고서가 발간되겠지?

 

네이버는 사업장기준 25,000톤이 넘으면 배출권거래제 참여기업으로 분류되는데

2020년부터 할당대상업체로 선정됨

 

배출권 참여기업인지 아닌지 확인하려면 ngms 시스템(환경부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에 들어가서 검색 가능

https://master.gir.go.kr/link.do?menuNo=30130101&link=/websquare/websquare.html%3Fw2xPath%3D/cm/bbs/OGCMBBS021V.xml%26menu%3D30130101 

 

NGMS 국가온실가스종합관리시스템

1월이행계획 제출 이행결과 제출(정부권장정책 평가 대상기관, 지자체 합동평가 대상기관) 3월명세서 제출 이행결과 제출 명세서 비공개 신청 이행실적 보고서 제출 7월관리업체 지정 고시 10월

master.gir.go.kr

 

Anyway!

직접배출에서는 525톤, 간접배출에서는 78,363.469톤인 것을 알 수 있는데

간접배출은 대부분 전기 사용량에 기인한다고 보면 됨

 

 2021년 네이버 배출량은 scope3 배출량은 총 196,536톤으로

업스트림과 다운스트림을 포함하여 보고하였음

업스트림에서는 제품/서비스 및 자본재의 비율이 약 (70,791톤,36.2%),

다운스트림에서는 투자(196,536톤, 59.72%)가 차지 하였음

 


네이버 (환경경영) 추진 전략

 

네이버는 크게 아래 전략을 가지고 있음

2020년 네이버는 2040 Carbon Negative 전략 수립

2040년까지 전체 배출량의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 목표

 

1. RE100가입

네이버는 2021년 재생에너지 도입 확대를 위한 외부 협력을 적극적 추진

재생에너지 조달 방안 마련을 위한 타당성/효과성 분석

2022년 12월 한국전력 및 엔라이튼과 제3자전력거래계약 체겨라여 제2사옥 1784에 재생에너지 확대도입

연간 소비 전력의 약 15%를 재생에너지로 충당할 계획

 

2. 환경영향저감

사업장 온실가스 인벤토리 구축완료, 제3자 검증 진행

2021년부터는 전체 탄소배출량 관리 범위를 전체 value chain으로 확대

2022년부터 scope3 범위의 탄소배출량 측정 방안 검토하여 관리/저감 방안 수립

 

3. 친환경제품/서비스솔루션 개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에서 scope3 관리, 사회적 탄소저감 방안고민 후 서비스 제공 목표

 

4. 외부 파트너십 확대

친환경 이니셔티브 발굴 주력

2022년 7월 CDP 프로젝트 참여, 2022년 EV100 참여(2030년까지 소유 및 임차차량 친환경 자동차로 전환)

지속가능채권 발행하여 환경 투자 강화

 

 

네이버 홈페이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