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궁금해서 찾아본 정보!
- 한국가스공사와 도시가스 회사는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
- 한국가스공사가 해외로부터 독점적으로 LNG를 공급받고, 이를 각 지역에 있는 도시가스회사와 발전사에게 판매하는 형태라고 이해하면 됨.
출처: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20841598&memberNo=6411495&searchKeyword=%EA%B0%80%EC%8A%A4%EA%B3%B5%EC%82%AC%EC%99%80%20%EB%8F%84%EC%8B%9C%EA%B0%80%EC%8A%A4&searchRank=1
- 국내 도시가스는 도시가스사업법에 따라 자격을 취득한 민간기업 32개사에서 각 가정이나 기업에 공급하고 있음
- 운영주체가 다를뿐 아니라, 시설유지 및 안전관리 대상, 도소매 가스의 요금체계가 각가 다름
- 한국가스공사의 역할 천연가스를 액화천연가스(LNG) 형태로 도입하고, 이것을 기화하여 발전소에 직접 공급하거나 도시가스회사에 공급
- 민간 도시가스회사는 수요처를 발굴해서 가정과 산업체에 공급하고 있음
+ 각 지역의 도시가스 회사는 6개월에 한번 수요자 시설의 점검과 검칙 그리고 순찰등의 안전관리를 담당하고 있음 - 도매요금은 적정원가에 적정투자금액을 판매량으로 나누어 산정하며 이는 기재부에서 재료비와 도매공급비용을 주기에 따라 변경하도록 함
- 소매요금은 소매공급비용을 추가하며, 지역마다 다르게 책정함. 가스가 들어오지 않은 수요처를 발굴하여 많은 시민에게 도시가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음
- 천연가스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서 산업용, 가정용, 냉난방용 등 사용용도에 따른 요금체계가 다름
728x90
반응형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전력 지속가능채권 이용실적 2021 (0) | 2023.02.10 |
---|---|
지방 기후위기 적응대책 수립 및 이행평가 지침 관련 실무-1 (0) | 2023.02.09 |
한국에너지공단 CDM 우수사례 (0) | 2023.02.08 |
2021 S-OIL 지속가능성 보고서 (0) | 2023.02.07 |
자발적 탄소시장 전망 및 정책 방향 (0) | 2023.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