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기술

국내 바이오 항공유 전환 기술 개발

반응형

오늘의 주제는 바이오연료! 그중에서도 국내 바이오항공유 원료 전환 개발 소식이야기를 전하고자 한다.

작년에 국내 바이오항공유 도입 방안 관련한 연구용역에 참여하다보니, 관련 기사를 보면 이야기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국내 원료를 통해 바이오항공유를 전환하는 기술을 국내에서 개발했다는 소식!!
정책제언을 기술 하면서 어려웠던 부분은 국내 연료 생산을 위한 원료 수급부분이라고 할 수있다.

 

국내 바이오항공유 생산이 어려운 이유?


국내에서 바이오항공유는 생산하기 어려운 이유는 원료 수급 문제가 가장 크다.
생산을 위해서는 넓은 지대에서 생산하는 활용 가능 작물이 있어야하는데,
국내는 이 작은 땅덩어리 특성상 수출은 커녕 주로 식용으로 재배 및 사용하고 있고
식용이 아니라면 주로 활용하고 있는 연료는 폐식용유인데
이는 이미 국내 바이오디젤에서 전량 사용하고 있다.
바이오디젤 원료로도 부족해서 해외에서 팜유를 사와서 만들고 있다는 사실..

옥수수속대를 활용하여 바이오항공유 생산


얼마전 국내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하 에기연)에서 옥수수를 통해
항공유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뉴스를 보았다!
옥수수의 여러부분중에서 속대와 같은 부산물을 통해 생산하는 것이니,
식량 작물이 아닌 폐기물을 통해 바이오항공유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는 것이다. 
정확하게 말하면, 바이오항공유를 생산하기 위한 중간물질로 전환할 수 있는 기술이라고 볼 수 있다.
바이오매스를 항공유로 전환 시 가장 중요한 것은, 수율인데 해당 기술은 20%를 달성할 수 있다고 발표되었다. 

보통 바이오매스 전환공정에서 가장 보편화된 공정은 HEFA 공정인데
팜유나 폐오일에서 나온 공정을 사용한다. 

Oil-Based 바이오매스는 Oil to Oil으로 전환하는 공정이기 때문에 수율이 80% 이상된다. 

어떤 공정을 활용했는지 기사에 정확하게 나와있지는 않지만,
농업 부산물의 경우 대체적으로 10~15%사이의 낮은 수율을 가지고 있는 것을 보면
원료별로 보면 낮은 수율이나, 동일 원료를 사용한 기술로 본다면 높은 수율(?) 발전해 나가는 단계로 볼 수 있을 것 같다.

바이오 항공유 원료별 수율 정보가 궁금하다면?

수율 관련해서 알고 싶다면 ICAO(국제민간항공기구) 홈페이지에서 승인된 원료정보와 수율을 알 수 있다 ▼▼▼

https://www.icao.int/environmental-protection/Pages/SAF_RULESOFTHUMB.aspx

 

SAF rules of thumb

As part of work on SAF projections, CAEP experts from Washington State University, supported by experts from Hasselt University developed a set of heuristics or "Rules of Thumb" for sustainable aviation fuel (SAF) that could be utilized to make order of m

www.icao.int

바이오매스 원료의 취약점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원료들이 가지고 있는 취약점은
식량원료를 통해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는 것을 곧 제로섬 게임아니냐는 큰 질타를 받고있다.
우리나라는 원유를 수입하여 정제된 유종을 수출국인데, 옥수수나 팜유같은 식량 연료로 만든 바이오연료는 
유럽연합의 수출 제한 혹은 기타 수출국의 제지권고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해당 기술로 생산된 항공유는 폐기물 및 식물 부산물이므로 규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앞으로도 실증단계를 꼭 거쳐서 상용화가 되었으면 하는 바램이다.

기사 출처: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421/0006814839?sid=102 

 

에너지연, 옥수수속대로 '바이오 항공유 전환'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버려지는 옥수수속대를 고부가 가치 산물인 항공유로 전환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은 광주친환경에너지연구센터 민경선 박사 연구진이 옥수수에서 알곡을

n.news.naver.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