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반응형

SBTi 뜻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침 및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기후행동 강화에 기여

출처: SBTi 홈페이지

 

1. 배경 및 필요성

2. 개요

3. 참여현황

4. 추진절차

 

1번~ 3번을 알아보고 4번은 PART 2에서 다루어보도록 하자!


 

1. 배경 및 필요성

 

1) 탄소중립 선언 확대

탄소중립 이행 방안에 대한 이행 지침 및 방법론 필요

 

2) 이상 기후 현상 증가

2100년까지 지구 평균온도를 1.5도씨 아래 수준으로 제한할 필요 있음

 

3) 환경정보공개 요구확대

국제사회의 환경정보 공개요청에 대한 전략적 대응 필요

 

2. 개요

 

(정의) 파리협정에 부합하는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고자 과학기반 목표 설정 지침과 방법을 제공하여

기업의 기후행동을 강화하는 자발적 이니셔티브

 

(운영기관) CDP(탄소정보공개프로젝트), WRI(세계자원연구소), WWF(세계자연기금), UNGC(유엔글로벌콤팩트)가 공동으로 운영하고 있음

 

(참여방법 및 기대효과) SBTi의 과학적 기준에 따라 목표를 수립하고, 검증을 거쳐 이를 외부에 공개하고

매년 scope 1,2,3에 대한 전사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보고하여야 함

 

(기대효과)

비즈니스 탄력성 구축 및 경쟁력 향상

혁신 주도 및 혁신적 비즈니스 

신뢰성 및 평판 구축

정책 변화에 미치는 영향의 대비 

 

(주요요소) 

SBTi 추진을 위해서는

1. 단기과학기반 목표

=> 단기 목표 시기가 도래하면, 장기 과학 목표 달성을 위한 신규 단기 과학기반 목표를 수립해야 함

2. 장기 과학기반 목표

=> 전력부분의 경우 2040년 이전으로 목표연도를 설정해야 하며, 늦어도 2050년까지는 1.5도씨 시나리오에 따라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함

3. 공급망 범위이상의 감축

=> 넷제로 전환을 위해 기업은 공급망 범위를 넘어서 배출을 줄일 수 있는 조치를 시행 해야함

RED+ 크레딧 구매, DAC(직접 공기포집)

4. 탄소중립

기업이 장기 SBTi를 달성하는 시점에 탄소 제거 및 저장을 통한 상쇄 필요

 

4가지 주요요소가 고려되어야 함

 

(부문별 지침)

현재 항공을 비롯해 건물, 화학, 석유/가스, 철강, 운송은 부문별 지침이 개발중임

반면, 의류 및 신발, 시멘트, 금융, 산림/토지/농업, 정보통신기술, 해운, 전력발전은 부문별 지침이 존재

 

3. 참여현황

5,851개 기업이 참여중

검증을 마친 기업은 약 3,316개

목표설정 서약까지 제출한 기업은 2,351개

한국은 46개 기업이 참여하여 16개 기업이 검증을 완료하였음

 

참여기업의 최신 현황은 SBTi Target Dashboard를 통해 확인 가능함

https://sciencebasedtargets.org/companies-taking-action

 

Companies taking action - Science Based Targets

Science-based targets provide companies with a clearly-defined pathway for reducing their emissions in line with the goals of the Paris Agreement. Hundreds of businesses around the world are already working with the SBTi.

sciencebasedtargets.org

 

부문별로 보면

컨설팅 및 기술 서비스 기업(금융 보험, 부동산, 통신)이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으며

제조 부문에서는 음식료품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출처: 2050 NET-ZERO를 위한 한국 사업의 숙제, WWF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