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편은 추진절차 세부로 알아보기로 한다.
이전 글 참고
1. 개념이해하기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SBTi 뜻 SBTi(Science Based Targets Initiative) 과학적 접근 방법을 통해 객관적이고 정확한 지침 및 방법론이 개발되어야 하며, 이를 통해 기업의 탄소중립 목표 달성 및 기후행동 강화에 기여 1. 배경 및
sustainableroutine.com
2. 추진 절차 브리핑
SBTi 이해하기 - Part2 (추진 절차)
업무로 일이 많아서, 추진절차만 나열하지 못해서 아쉽지만 차근차근 알아보는 걸로 하고 끊어서 설명하도록 하겠음 개념에 대해서는 아래 글에서 설명하였고, 오늘은 간략히 추진 절차에 대해
sustainableroutine.com
step1 과학 기반 목표 설정 서약
과학 기반 목표를 설정하고자 하는 기업은
온라인 등록 이후 서약서를 작성하여 SBTi에 이메일로 제출하고
기업의 참여의사가 인정되면 SBTi로부터 Committed를 부여받을 수 있음
1. 온라인 등록
SBTi 웹페이지
SBTi Standard Commitment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온라인으로 등록
2. Commitment (서약서) 작성
SBTi 기준에 맞는 단기 과학 기반 감축 목표를 설정하고
SBTi 검증을 받아 목표를 공표하며, 24개월 내로 수행할 것을 약속
3. Committed 부여
기업의 참여의사가 인정되면 Comitted 부여
24개월 이내 과학 기반 목표를 개발하고 검증하여서 게시해야 함
*중소기업의 경우
- SME 과학 기반 목표 설정 양식 사용
- SME Science-based target setting form에 기업 정보 기업
- 목표 옵션 중 하나 선택
1) '18기준 '30년까지 50% 감축 2) '19기준 '30년까지 46%감축 3) '20기준 '30까지 42% 감축 - 온실가스 배출 현황 정보 작성
- 양식 제출
- 약관 서명 후, 검증비(USD 1,000) 지불 및 지불 확인서 제출
*개도국 및 체제전환국 내 본사를 둔 경우 면제가능 - 지불확인서 제출 및 목표 공개
출처: 2050 NET-ZERO를 위한 한국 사업의 숙제, WWF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내 4대 석유화학기업 온실가스 배출량 비교 (0) | 2023.09.23 |
---|---|
넷마블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3 | 게임업계 (0) | 2023.09.10 |
SBTi 이해하기 - Part2 (추진 절차) (0) | 2023.08.28 |
SBTi 개념 이해하기 -PART 1 (0) | 2023.08.23 |
한국가스공사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2 (0) | 2023.08.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