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작성할 때 따르는 여러 가이드라인인데
아마 귀에 딱지 얹을 정도로 듣는 "GRI"
그 GRI가 뭔데? 하는 사람들을 위해서 짧게 정리하여 안내하려고 함
에코바디스와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대해 공부하다가,
간결하면서도 핵심내용만 잘 담고있는 볼로그가 있어서 발췌하여 정리하였음
출처표시는 제대로 하고 있습니다.
GRI가 무엇인지?
GRI(Global Reporting Initiative)는 국제 지속가능경영표준가이드라인을 제시한 비영리 국제기구
'22년까지 사용된 '16년 GRI 표준 가이드라인은 '공통 표준'과 '주제별 표준'으로 나뉨
공통표준이란?
GRI 기본내용을 담고있는 GRI103으로 구성
주제별표준이란?
경제 부문의 세부 지표를 다룬 GRI 200, 환경 부문의 GRI 300, 사회부문의 GRI 400으로 나뉜다.
GRI 표준은 최근 20~30년도 동안 꾸준히 개정되어 옴
최근 GRI 표준은 '21년도 개정되었는데 기존 GRI 가이드라인('16년)보다 글로벌 가이드라인과 연계 및 호환 강화의 목적임
개정내용은?
유엔글로벌콤팩트 UNGC
ICGN(International Corportate Governance Network) 국제 지배구조 원칙등과의 연계 강조됨
공통표준의 경우 산업 표준이 새롭게 추가되었으며, 핵심개념이 재정의 되었음
영향(Impact)
중대성 주제(Material Topic)
실사(Due Diligence)
이해관계자(Stakeholder)
-영향의 경우 조직이 경제, 환경, 사람들에게 장.단기에 걸쳐 미치는 영향 구성
-중대성부문은 기술자원 사용, 산업 보건 및 안전, 반부패와 같은 기업별 중요 이슈로 선정된 내용 보고
-실사부문은 인권을 포함한 경제, 환경, 사람에게 미치는 잠재적 영향을 식별, 이를 완화하고 설명하는 과정의 보고
-이해관계자는 사업 파트너, 시민사회, 정부, 지역사회, 공급업체등 이해관계자 보고로 구성
'21년 GRI 표준은 '23년 1월부터 발행하는 보고서부터 유효
국내의 경우 하나의 프레임워크만 준용하는 것이 아니라 SASB, TCFD를 동시에 따르는 보고서들이 등장하고있음
무엇보다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에 있어서는 4가지 원칙을 제시하고 있음
"이해관계자 포괄성(Stakeholder Inclusiveness)"
"지속가능성 맥락(Sustainability Context)"
"중대성(Materiality)"
"완전성(Completeness)"
출처: 에코나인 블로그
https://blog.naver.com/econine_official/222981996030
[에코나인]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을 위한 팁!
GRI 가이드 라인 GRI Global Reporting Initiative 는 국제 지속가능경영 표준 가이드라인을 제시...
blog.naver.com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두의 ESG-① | 국내 친환경 제품소개 "빗물 탱크" "친환경 화장실" (0) | 2024.01.16 |
---|---|
ESG 보고서 작성시 실무자가 어필해야할 '항목' (0) | 2024.01.10 |
에코바디스(ECOVadis) 평가란?? 완전 쉽게 정리해보자 (0) | 2023.12.12 |
12월 그린잡 | ESG JOB 현대케피코 (0) | 2023.12.08 |
부동산 자산의 글로벌 ESG 인증제도 간단 정리 (0) | 2023.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