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ESG

ESG 보고서 작성시 실무자가 어필해야할 '항목'

반응형

 

ESG 보고서에서 기후변화대응 파트를 기술하기 앞서 필요한 설명

 

첫번째 이 부분은 왜 기술하는지 살펴보기.  
우선 ESG 보고서에서
E는 쉽게 말해서 기후변화대응 = 온실가스 감축 이렇게 생각하면 자연스럽다고 볼 수 있다.

 

실제 실무에서는 🏃‍♀️
특히 국내 대표적인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라하면, 정말 빼놓을수 없는게 
"감축 목표 설정" , "이행점검" 이며

국가나 기업이나 성과평가 작업은 뼈를 이루는 기초 작업이라 할 수 있다.

 

WHY DON'T YOU? 어필 열심히?🤷‍♀️
기업에서는 아주 비싼 라이센스비용을 지불하면서 해외 인증 특히 유럽국가들의 인증을 받고
유명한 국제 이니셔티브, ex) SBTi 같은 이니셔티브를 준용하면서
그 과정에서 꼭 필요한게 감축목표 설정인데, 인증받으려면 꼬옥 제출을 했을건데! 어필을 못하지 않았을까 싶었다.

1. 목표 설정과 달성여부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지 않았거나

2. 전년대비 감축을 할 수 가 없어서 부끄러워서

 

지속가능경영보고서 핵심 기술내용 👩‍🏫

내가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살펴볼 때 핵심적으로 보는 부분은  ⬇

회사의 생산품(공급망 전반)
1. 공정 연료 전환
2. 생산품 전환 (친환경 소재사용)

 

기후변화 대응

1. 감축목표 설정연도/ BAU대비 감축량
2. 감축목표달성 추이

3. 동종업계 목표비교 (ex: 석화기업이라고 하면 금호와 롯데케미칼 등등 같은 업계내에 목표 및 달성여부 비교)

 

출처: SK텔레콤 뉴스룸

 

 


+ 본문은 어피티의 외부 필진이 작성한 글을 보고 추가로 덧대어 같이 의견을 보태고 싶어서 작성했다.

 

내가 쪼아하는 어피티 머니레터에서 "ESG 보고서" 에 대한 이야기가 나왔기 때문이다.

 

원문은 아래 링크에 기재하였다. "ESG 뜯어보기 시리즈- 어떤 ESG보고서가 '잘 만든 보고서'야? "중의 하나이다. 

 

  • 한 마디 정리 : 감축목표 혹은 배출량 현황 공개하지 않는 보고서는 좋은 보고서가 아니다.

https://uppity.co.kr/moneyletter_archive/?q=YToxOntzOjEyOiJrZXl3b3JkX3R5cGUiO3M6MzoiYWxsIjt9&bmode=view&idx=17543003&t=board

 

[24.01.10] 💰슈퍼 선거의 해, 첫 주자는? : 지난 머니레터

#대만총통선거 #크롬 #쿠키수집 #ESG #ESG보고서  2024. 1. 10. (수)구독하기 I 공유하기 I 더 크게 보기코스피 2,561.24 ▼ 6.58 (-0.26%)USD 환율 1,319.00 ▲ 4.00 (+0.30%)갈치(냉동, 100g) 4,899원 ▲ 2,037원 (+71.17

uppity.co.kr

 

이 글을 읽고 우선 같은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으로서는 어떤 새로운 지식 측면에서보다


ESG 보고서를 바라보는 필진의 인사이트로 동감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