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 ESG 이슈 정리
중기청의 엣지티비를 보면서 정리하고 있음
차라리 기사나 글로 적혀있으면 정리해가면서 읽을 수 있겠는데
동영상이라서 오히려 포인트를 잡고 이해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는 듯함
어쨋든 정리한 내용으로는 건설업에서 이슈는 1) 국내 규제대응 2) 벨류체인별 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3) 글로벌 인증제도 대응
1. '24년부터 민간 건축물을 대상으로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2. 건설의 밸류체인별로 온실가스 감축 방안 마련 (자금조달, 기획, 설계, 자재 생산, 조달, 시공, 운영)
3. 친환경 건축물 인증제도와 더불어, 상업용 부동산 대상 ESG 성과 및 평가평가제도
정리한 세부 내용은 아래와 같다👇👇👇👇
INTRO
- 2020년부터 연면적 1,000m2 이상 공공건축물 대상 의무화
- 2024년부터 제로에너지 건축 의무화
=> 민간 건축물 대상으로 범위가 확대될 예정 -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르면 중소 규모 건설공사 시, 건설공사 발주자가 기술지도기관과 의무 계약을 체결해야 함
- 2020년 UNEP에 따르면 전세계 탄소배출량과 에너지소비량의 약 37%, 36%가 건축물 및 건설생산 과정에서 발생하고 있음
건설업의 밸류체인
크게 자금조달, 기획, 설계, 자재 생산, 조달, 시공, 운영으로 구분
탄소 사용 및 에너지사용률 저감, 재생에너지 확대는 광의의 value chain 관점에서 살펴보아야 함
자금조달 및 기획 설계에서는 제로에너지 빌딩과 전기차를 통해서 산업 공통 적용 가능한 감축 방안이 있음
자재 생산 및 조달은 자원 채취, 자재 생산, 자재 운송은 에너지 및 화석연료 사용 최소화 뿐 아니라
건설업 특화 감축 방안으로
- 유연탄을 원료 및 원료로 사용하는 공정혁신을 위한 기술개발 및 설비 투자
- 탄소배출 자재의 건물 최소화를 위한 구조 및 설계 지향
- 재활용 자재 활용
- 건설 상품 내구성 제고 및 장수명화 유도
시공측면에서는 osc 공법활용, 에너지 및 탄소배출 저감 공법 도입, 건설폐기물 분리배출 및 재활용 시도
운영측면에서는 급탕, 냉난방, 조명, 전자기기에서의 에너지 및 화석연료 최소화
특히, 에너지 효율을 제고한 건축물의 건설, 기존 건축물의 에너지 효율 제고를 위한 개보수와 같은 그린리모델링이 중요해지고 있음
이를 위해서는 BEMS를 보완하고 있음
BEMS란(Building Management System)? 건축물의 쾌적한 실내 환경 유지 및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를 위해 에너지 사용내역을 모니터링하여 최적화된 건축물에너지 관리방안을 제공한 계측.제어.관리.운영 등이 통합된 시스템
더나아가 디자인 경영으로 확장하여
에너지 발전, 저장, 사용할 수 있도록 친환경적인 디자인으로 설계하는 방안임
태양전지 모듈을 건축물에 설치하여 건축부자재 역할 및 전력생산 동시에 가능한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 설치
(BPIV, 건물 일체형 태양광 시스템)
회전축이 바람의 방향에 대해 수직적이며, 바람의 방향에 관계 없이 운용
(VAWT수직 축 풍력 터빈 등의 설치)
또한 최근 홍수와 폭염 등을 극복할 수 있는 Urban Planning의 일환의 친환경 건축물이 설치되고 있음
국내 건설업의 ESG 대응 사례
포스코에서는
1. 탄소배출 저감형 공법 도입 및 활용 ex) 모듈러 건축 공법, BIM과 프리팹 방식
2. 탄소배출 저감형 건설자재 및 재활용 자재 사용 ex) 고로슬래그를 활용
건설업계의 탄소저감을 위한 신기술
탄소중립 건설재료
1. 고성능 고감도 콘크리트
2. 저탄소 아스콘
3. 건설용 섬유복합체
4. co2저장 흡수 콘크리트
탄소중립 시공 및 유지관리
1. CCU콘크리트 생산
2. 시공 기술 개발
3. 모듈러 방식 활용
디지털 트윈, IOT, AI, ML,BEMS등이 접목하여 건설업이 변모하고 있음
친환경 건축물 인증 제도
- G-SEED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만든 국내 인증 제도
- LEED 미국 그린빌딩위원회가 만든 자연친화적 빌딩, 건축물에 인증하는 제도
- BREEAM(브림)
***GRESB
또한! ESG는 투자자관점으로 볼 때, 글로벌 부동산 자산 ESG 벤치마킹
GRESB는 사모펀드에서 개발해서, 기업 자산의 포트폴리오를 평가하는 체계
친환경인증과는 달리 운용사의 정책과 소통, 자산운용사들의 국가별, 자산별 비교/상대평가, 평가기준을 매년 업그레이드하고있음
출처: 엣지esg 유튜브 정리하여 작성
https://www.youtube.com/watch?v=FboQuy3WNMU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기준 및 유의점 | 작성방법 초초초간단 요약 🚍 (0) | 2024.04.11 |
---|---|
2월 그린잡 | ESG JOB 현대트랜시스 (0) | 2024.02.18 |
2월 그린잡 | ESG JOB 이지스 자산운용 (0) | 2024.02.14 |
1월말 그린잡 | ESG JOB 카카오 (0) | 2024.01.31 |
국내외 ESG 규제 환경과 이슈- 글로벌 ESG 정책과 규제 동향 정리 (0) | 2024.0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