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기준 유의점이라고 작성되어있고 약 15분짜리 영상을 정리하였음
'22년 5월에 업로드된 영상으로 현재기준 약 2년이 지났지만
전반적인 보고서 작성순서와 현황 그리고 대표 기준(=기업들이 가장 많이 따라하는) GRI 표준 개정사항
간략히 알려주면서 뼈대를 보여주는 짧은 영상이라 참고하기위해서 가져왔음
다음 시간에는 조금 최신자료로 현재 ESG 공시 인증에 대한 글을 가져와보도록 하겠음!

▼참고
ESG보고서 국내기업의 작성/공시 보고서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이 현행화되고 있음
https://esg.krx.co.kr/contents/02/02030000/ESG02030000.jsp
ESG 포털 | ESG 기업정보 | 지속가능경영보고서 | 보고서 조회
esg.krx.co.kr
아래 글 읽는데 소요시간 약 4분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현황
1.
'22년 5월 약 2년 전 데이터지만
작성기준과 유의점 위주로만 주안점을 두어 제시하고 있음
2.
14년동안의 국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현황에 대한 리서치결과는
'20년부터 '21년 7월까지 발간된 전체 보고서는 152개가 있음
상장기업 107개 보고서 발간
기업부문에서는 123개, 공공부문에서는 29개의 보고서 발간
처음 발간된 보고서는 총 30개로 나타남
3.
다양한 표준과 이니셔티브 대응이 있음
1. SASB 45.4%의 기업이 따라서 공시
2. TCFD 50%의 기업이 따라서 공시
3. 가장 많은 것은 GRI를 따르고 있음
4.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무엇인가에 대한 설문결과는
환경성과로 응답되었음
반면, 가장 미흡한 부분은 환경성과라고 응답하였음
지속가능경영보고서 작성 프로세스
1.
수행단계 5단계를 따름
1.1 환경분석
-미디어분석
-벤치마킹
-이해관계자 참여
산출물
미디어분석보고서
벤치마킹 결과보고서
1.2. 중대성평가 및 기획
-GRI Standard에 중대성평가
-중대성평가에 기안한 보고서 기획
-현업 담당자 교육 및 초안 검토
산출물
중대성평가 결과보고서
보고서 목차 기획안
작성 템플릿 및 교육자료
GRI & SASB & TCFD index
1.3 제3자 검증
산출물
- AA1000AS에 기반한 검증수행
-국/영문 검증의견서
- Verification Log
2.1 보고서 디자인
2.2 보고서 번역
지속가능보고서 독자
지속가능경영보고서는 1. 일반독자 2. ESG 전문가 및 평가자가 독자임
ESG는 자발성을 넘어서 강제성을 띄고 있음
처음에는 환경으로 시작했지만, 통상 이슈가 되었음
전 세계의 지속가능성과 기업의 지속가능성을 동시에 고려해야한다는
"이중 중대성 관점"에서 다루는 것을 의무화하고 있음
ISSB 국제 지속가능성 표준 위원회, 기후변화당사국총회(cop26) 합의로 2021.11.3 출범
GRI 1997년 CERES가 UNEP(환경계획)과 협약을 맺고 설립한 지속가능 보고서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국제기구
GRI 2016년 가이드라인에서 표준(Standards)로 변경됨
GRI 관련해서만 자세히 보면
개정이유('21.10월)
- 인권관련 공시항목 포함하기 위해
- 실사를 통합하기 위해
- 명확성 증진
- 표준 사용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 사용가능성을 증진시키기 위해
-*9가지의 요구사항을 모두 충족해야 함. 그렇지 않을 경우 참조 보고서로 볼 수 있음
- 9가지 요구사항
- 8대 보고 원칙 반영(정확성, 균형, 명확성, 비교가능성, 완전성, 지속가능성 맥락, 적시성, 검증가능성)
- GRI2 일반 공시 2021 내용보고
- 중대 주제를 결정
- GRI3 중대 주제 2021 내용보고
- 각각 중대 주제에 대한 GRI 주제표준 보고
- 정보가 누락되었거나, 조직이 보고 요구사항을 반영하지 못할 경우 그 이유 명시
- GRI 인덱스 공개
- GRI 사용과 관련된 성명서
- GRI에 통지 (reportregistration@globalreporting.org.)
-신규 추가 및 개정과 기타 변경된 지표가 있음
- 산업별 표준화는 GROUP1~40까지 리스트 제공예정
석유 및 가스에 이어 석탄, 광업, 농업, 양식업, 어업이 개발 중에 있으며
식음료, 섬유 및 의류, 은행, 보험, 자산운용, 유틸리티, 재생에너지, 산림, 금속가공업이 개발될 예정임
- Sector profile에는 아래 두가지 내용을 담고 있음
- 산업 특성 소개
- 보고 해야하는 내용에 대한 공시
시사점
1. "기업 존재의 목적" & "중대 주제" 초점을 맞춘 경영
=> 이중 중대성을 고려한 중대성 평가를 실시해 볼 것을 제안
=> 투자자도 중요하지만 다양한 이해관계자를 고려한 공시 필요
2. ESG 평가기준 및 결과에 너무 집착하지 않아야 함
=> 단기적으로 특정 평가 기준에 맞추어 경영활동 진행 및 평가기준에 답변하는 용도로 공시하는 사례 多
=> 환경과 사회, 이해관계자의 지속가능성 확보를 위한 활동을 지속적으로 내재화해 나가는 것이 중요함
3. GREAN WASHING , ESG WASHING 지양
=> 이벤트성 사회공헌 활동 지양
=> 광고나 홍보용 활동 및 공시보다는, 임팩트 및 가치창출 활동 및 공시에 집중 필요
https://www.youtube.com/watch?v=XyanHGChH68
'ESG'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탄소회계 개념 뚜드려 잡기! ☂️ (0) | 2024.05.03 |
---|---|
국내 ESG 공시 대응 쟁점사항(탄소회계) 🧑🔧 | 빠르면 기회, 늦으면 비용 (0) | 2024.04.30 |
2월 그린잡 | ESG JOB 현대트랜시스 (0) | 2024.02.18 |
ESG 업종별 대응방안- ① 건설업 🏗️ (0) | 2024.02.15 |
2월 그린잡 | ESG JOB 이지스 자산운용 (0) | 2024.02.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