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배출전망방법은 국가 측면이나, 광역/기초 지자체 단위로 내려오는 배출전망 방법 동일
따라서, 환경부에서 발간한 지자체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 가이드라인에 나온 내용을 기초로 소개하고자 함.
특히 상향식 모형과 관련해서는
GIR(온실가스종합센터) 내부에는 이미 기 구축된 모형을 바탕으로 전망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고 있음
전망모형은 수정보완이 가능하며 인풋데이터 매해 업데이트 가능!
part1 개념설명
1. 미래배출량 개념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은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배출현황을 바탕으로 향후 발생할 온실가스를 예측하는 것을 의미
즉 미래 배출량은 예측된 배출량으로 정의함
미래 온실가스 배출량에 아무런 조치가 없을 때 배출량 전망치를 BAU(Business As Usual)라고 정의하며
온실가스 감축목표 수립 시 해당 미래 배출량을 활용함
2. 미래배출량의 중요성
미래배출량 전망은 향후 목표연도까지 감축해야 할 온실가스 배출량을 결정하는 매우 중요한 활동으로, 미래 배출량이 과소 또는 과대로 산정될 경우 온실가스 감축계획을 수립하고 이행하는데 있어 상당한 차질 유발함
미래예측은 어렵고 부정확성을 배제할 수 없지만, 예측시 영향을 미치는 주요 증감요소를 최대한 반영하고 과대산정하지 않도록 주의 필요
3.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방법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을 위해서는 통계적 방법, 기술경제적인 상향식 모형(Bottom-up Model), GEBT 등이 있으며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시 지자체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전망할 수 있음
- 통계적 방법
과거의 자료를 이용하여 회귀분석 또는 시계열 분석 등을 통하여 단기적인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하는데 사용
- 상향식 모형
경제성장률, 물리적 에너지자원의 필요량, 기술진보, 인구성장 등의 구조변화가 온실가스 배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장기적인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하는데 사용
->온실가스 감축수단, 감축잠재량, 비용분석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으나, 모형에 입력하는 데이터가 방대 및 복잡하고 많은 비용 소요
- GEBT(Greenhouse gas Emission Business-as-usual Tool)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개발한 미래배출량 전망 프로그램으로 경제성장, 인구증가, 국제유가 등을 반영하여 에너지수요를 전망하고, 이를 통해 미래배출량을 예측하는 방법
출처: 지자체 기후변화대응계획 수립 가이드라인, 2021.03
part2 실무활용도
1. 그렇다면 어디서 배우지?
필자의 대학원 시절 연구실은 통합모형을 운영하고, 배출량 전망 및 감축 잠재량 분석 전문이었음
세미나 과목이 있고, 모형 학회가 있어서, 코로나라 줌으로 참가하기도 하였음
연구실에서 수행하던 과제도 관련 내용이었음. 상향식 모형 관심있다 하면 소개해드릴 수 있음
여유가 되면, 상향식 모형에 대해서 혼자 공부한 내용을 공유해볼까 함.
2. 실무 활용도
여기서 사용한 기술경제모형을 비롯해 모형은
단순히 온실가스 전망을 위해 개발되었다기보다 국가감축목표설정과, 미래 배출량 전망 및 감축량 산정에
활용을 했다고 보면 됨
그래서 전망 모형을 전문적으로하고 싶은 사람은 온실가스 분야를 포함해 다양한 부문에서 활용을 할 수있으며
온실가스 실무에서 상향식 모형을 활용한다고 하면
모형설계의 이해도 그리고 새로운 input 데이터를 수합할 수 있을 정도의 지식 정도 필요하지 않을까 함
보통 내가 맡고 있는 업무에서는 회귀분석 증감율을 활용한 통계적 방법 활용을 주로하고,
상향식 모형과 관련해서는 엄청난 데이터 input이 필요한 상황이라
개인으로는 어렵고 이미 모형이 구축되어있는 연구실 & 자원이 필요함
'온실가스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광역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0) | 2023.03.27 |
---|---|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기초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0) | 2023.03.27 |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실무 (외부감축사업) (0) | 2023.03.17 |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실무 (기준배출량 조정) (0) | 2023.03.17 |
온실가스 감축의 연혁 (feat. 굵직한 국제기구 동향 및 사건) (0) | 2023.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