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자료를 활용하여 지자체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를 산정
- 비산업부문을 중심으로, 지자체 단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을 위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시 적용된
주요 가정, 방법론, 감축률과 지자체 감축목표 설정 방법론 비교 및 분석
※ 이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국가단위 목표와 지자체 단위 목표간 연계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
- 국가단위의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후, 국가 대비 지자체 실적 증감률 관계를 이용하여 지자체 최종에너지 수요를 전망하는 방법을 적용
- 세부 에너지 활동자료 데이터 확보가 어렵거나 비에너지 배출원인 산업공정, 농축산, 폐기물부문은 국가단위 온실가스 배출량과 지자체 인벤토리 실적을 이용하여,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직접 전망
지자체 에너지소비량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전망(t)
= 지자체 에너지 소비량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t-1) x (1+(국가단위 전년대비 해당년도 전망치 증감률(t) x (지자체 연평균 증감률(tx~ty)/국가단위 연평균 증감률(tx~ty))/100))
- 지자체 단위 특징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부문별로 전망 방법을 달리함
- (가정부문) 국가의 가구당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과 지자체의 가구당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 관계를 이용
- (상업부문)국가 건물 연면적 당 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과 지자체의 건물 연면적 당 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 관계를 반영
* 지자체별 인구당 단위 소비 에너지, 연면적당 단위 소비 에너지를 전망함ㅇ로써, 단순하게 인구 및 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도 증가하는 효과를 배제하기 위함
- (건물,공공기타부문) 국가 건물부문 온실가스 미래배출량 전망치 간의 차이 반영하여 지자체별 BAU 전망 상향 조정*
* 지자체별 BAU 상향 조정 = 지자체별 기존 BAU + {국가 BAU 차이값 X (지자체별 기존 BAU) / 17개 지자체 기존 BAU 총합}
- (폐기물부문) 한국환경공단 감축인벤토리 기준인 폐기물 발생량(간접배출)을 실적으로 하여 추세 연장을 통한 미래배출량 재산정
- 비에너지 부문 중 폐기물 부문은 지자체 인벤토리 실적을 이용하여 미래 배출량을 직접 전망
- 폐기물부문은 폐기물 매립, 폐기물 소각, 하폐수 처리, 생물학적 처리로 배출원을 구분하며 세부 배출원으로 나누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
- 세부 배출원별 전망은 최근 실적의 연평균 증감률 혹은 최근 1인당 배출량 실적을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
728x90
반응형
'온실가스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이브리드에 넣는 유종은 무엇일까? (디젤/가솔린) (0) | 2023.05.31 |
---|---|
협정? 협약? 비준/채택/체결 (0) | 2023.05.09 |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기초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0) | 2023.03.27 |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미래배출량 개념, 배출량 전망 실무) (0) | 2023.03.22 |
공공부문 온실가스 목표관리제 실무 (외부감축사업) (0) | 2023.03.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