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실가스 실무

온실가스 배출전망 방법 (광역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

728x90
반응형
  • 국가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자료를 활용하여 지자체 단위의 온실가스 배출량 전망치를 산정

 

  • 비산업부문을 중심으로, 지자체 단위 온실가스 감축잠재량 분석을 위하여 국가 온실가스 감축목표 설정 시 적용된
    주요 가정, 방법론, 감축률과 지자체 감축목표 설정 방법론 비교 및 분석
 
    ※ 이는 국가온실가스 감축목표의 효과적 달성을 위해서는 국가단위 목표와 지자체 단위 목표간 연계성과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함

 

  • 국가단위의 최종에너지 수요 전망 후, 국가 대비 지자체 실적 증감률 관계를 이용하여 지자체 최종에너지 수요를 전망하는 방법을 적용

 

  • 세부 에너지 활동자료 데이터 확보가 어렵거나 비에너지 배출원인 산업공정, 농축산, 폐기물부문은 국가단위 온실가스 배출량과 지자체 인벤토리 실적을 이용하여, 지자체 온실가스 배출량을 직접 전망

 


지자체 에너지소비량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전망(t)


= 지자체 에너지 소비량 또는 온실가스 배출량(t-1) x (1+(국가단위 전년대비 해당년도 전망치 증감률(t) x (지자체 연평균 증감률(tx~ty)/국가단위 연평균 증감률(tx~ty))/100))

 

  • 지자체 단위 특징을 최대한 반영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부문별로 전망 방법을 달리함
  • (가정부문) 국가의 가구당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과 지자체의 가구당 에너지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 관계를 이용
  • (상업부문)국가 건물 연면적 당 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과 지자체의 건물 연면적 당 원별 에너지 소비 실적 관계를 반영
* 지자체별 인구당 단위 소비 에너지, 연면적당 단위 소비 에너지를 전망함ㅇ로써, 단순하게 인구 및 연면적이 증가함에 따라 에너지 소비량도 증가하는 효과를 배제하기 위함
  • (건물,공공기타부문) 국가 건물부문 온실가스 미래배출량 전망치 간의 차이 반영하여 지자체별 BAU 전망 상향 조정*
* 지자체별 BAU 상향 조정 = 지자체별 기존 BAU + {국가 BAU 차이값 X (지자체별 기존 BAU) / 17개 지자체 기존 BAU 총합}
  • (폐기물부문) 한국환경공단 감축인벤토리 기준인 폐기물 발생량(간접배출)을 실적으로 하여 추세 연장을 통한 미래배출량 재산정

 

  • 비에너지 부문 중 폐기물 부문은 지자체 인벤토리 실적을 이용하여 미래 배출량을 직접 전망
  • 폐기물부문은 폐기물 매립, 폐기물 소각, 하폐수 처리, 생물학적 처리로 배출원을 구분하며 세부 배출원으로 나누어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망
  • 세부 배출원별 전망은 최근 실적의 연평균 증감률 혹은 최근 1인당 배출량 실적을 고정하는 방법을 적용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