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기술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③ 건물

반응형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분야는 건물분과이다!

 

1. ccus분과

2. 산업 분과

3. 건물 분과

4. 에너지전환 분과

5. 환경 분과

6. 수송 분과

 

 

사실 현재 건물부문과 관려해서 용역 과제를 지원하고 배우는 부분이 있어서,

부문별 탄소중립 기술을 다룰 때 건물이 눈길이 간다.

 

출처: 에너지데일리

 

이전 글은 아래 링크 참고 ▼

 

https://14035000.tistory.com/76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① CCUS

업무중 우연히 최근에 발간된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분석 보고서"를 보았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바로 얼마 전('23년 7월에 출간)에 나왔다. 전문가 집단의 동향을 들을 수 있는 회

sustainableroutine.com

https://14035000.tistory.com/77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② 산업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에서 오늘은 산업부문 다루어본다.! 제일 속알맹이가 없는 느낌이랄까.. 그만큼 답이 없어서 그런 것일까.. 아무튼 오늘은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분석

sustainableroutine.com


[주제1] 건물부문 탄소중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승언 선임연구위원

 

(질의1) 현재 기준으로 건물을 짓고 사용을 하지 않는다면 배출량이 0으로 산정되는지, 건물의 배출량 산정시에는 에너지만 기준으로 하는 것인지?

⇒ 배출량 통계에는 잡히지 않으며, 건물 배출량 계산시 급탕에 대한 언급되어있으나, 용수 관련 언급은 없으며 해당 내용은 산업부 산업도시 부문(물 생산)에 포함되어있음

 

(질의2) 배달 LPG의 경우 도서 및 산간지역에 주로 사용되는데 관련 통계는 어떻게 추정되고 있는지?

⇒ 에너지 통계에서 건물 부문에 분류된 석탄과 석유는 산업부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석유는 2018년 기준 약 14%를 차지하고 있으나, 점차 감소하고 있음

⇒ 석유 에너지는 2030년 목표달성을 위해 사용량 0%가 되어야 하나 전기 사용으로 대체시 반대로 약 4% 전력사용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국가 공급측면에서는 전력 증가에 대해 인정이 필요함 ( 배달 LPG 물어봤는데, 딴 소리함….. 관련 통계가 어떻게 잡히는 지 알아봐야 겠음)

 

(질의3) 총량제의 기본은 인벤토리라고 보여지는데, 온실가스 감축 720만 톤중에서 건물은 상업건물만 해당되는건지, 국토부에서는 가정+상업+공공 관련 구축 현안 혹은 향후 계획이 있는지?

⇒ 상업건물 외 모든 건물이 포함

⇒ 현 건물에너지 사용량의 경우 통계적으로 나와있음. 건물별 인벤토리와 에너지원별 인벤토리가 있음

⇒ 개인정보 수집의 어려움으로 건물 부문에서도 의료 데이터와 같은 인벤토리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담을 수 있는 플랫폼 필요

(무슨말인지 모르겠음…체계적인 데이터 관리가 건물 부문에서도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 같음)

 

[주제 2] 건물부문 탄소중립 추진 정책 및 기술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이승언 선임연구위원

 

(질의1)  탄소중립도시 공간계획 지원 플랫폼에는 어떤 데이터들이 포함되는지?

(일단 이런게 있는지 몰랐고요)

국토부가 브이월드라는 공간정보 통합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음

건물에너지 정보가 들어가 있지는 않으나 향후 포함예정, 수송 관련 데이터도 포함시키는 작업을 도로교통공단과 진행할 예정임 흡수원 관련 데이터는 부족 일부 시뮬레이션을 통해 건축물의 흡수량을 시각화 할 수있는 지도 작업중임 가로등과 같은 공공부문의 에너지 사용량 관련해서는 포함이 어렵기 때문에 핵심 요소들을 중심으로 구성이 되어있는 지도가 될 것으로 예상 됨.

 

★★★★오늘의 수확

 

국토교통부 브이월드

와 정말 정말 신기하다!! 

https://map.vworld.kr/map/dtkmap.do?mode=MAPW203 

 

브이월드

국가가 보유하고 있는 공개 가능한 공간정보를 모든 국민이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방법을 제공합니다.

map.vworld.kr

 

아무래도,,, 이번 글에서는 큰 실효성있는 이야기 나온 것 같지 않다보니..

차라리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 부분중 건물부문의 목표가 뭔지를 보고, 톺아보는게 더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아래글은 건물부문 2050 탄소중립 로드맵 글을 발췌하였다. 그냥 하번 쭉 읽어보면 좋을 듯하다. 

 

http://www.kharn.kr/news/article.html?no=18640 

 

국토교통 탄소중립 로드맵 수립…건물부문 기본계획 방향제시

국토교통부(장관 노형욱)가 최근 ‘국토교통 2050 탄소중립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로드맵은 건물에서 나아가 국토·도시단위의 탄소중립으로 개념을 확장했으며 기존 온실가스 감축수단의

www.kharn.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