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녹색기술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⑤ 환경

728x90
반응형

오늘은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분석 연구 보고서를 잘게잘게 쪼개보기 4번째 시간

 

본 보고서는 기술원 직원들의 역량강화와 최신 이슈동향 파악을 위해서 만들어진 과제로,

올해('23년 7월 말) 결과 보고형태로 Q&A 내용이 수록이 되어있어서 한번 정리해보았다!

 

1. ccus분과

2. 산업 분과

3. 건물 분과

4. 에너지전환 분과

5. 환경 분과

6. 수송 분과

 

이미지출처: 뉴스펭귄, 원출처: LEGO 공식홈페이지

 

이전 글은 아래를 참고 ▼ ▼ ▼ 

 

https://14035000.tistory.com/76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① CCUS

업무중 우연히 최근에 발간된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분석 보고서"를 보았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바로 얼마 전('23년 7월에 출간)에 나왔다. 전문가 집단의 동향을 들을 수 있는 회

sustainableroutine.com

 

https://14035000.tistory.com/77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② 산업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에서 오늘은 산업부문 다루어본다.! 제일 속알맹이가 없는 느낌이랄까.. 그만큼 답이 없어서 그런 것일까.. 아무튼 오늘은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분석

sustainableroutine.com

 

https://14035000.tistory.com/79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③ 건물

개인적으로 관심있는 분야는 건물분과이다! 1. ccus분과 2. 산업 분과 3. 건물 분과 4. 에너지전환 분과 5. 환경 분과 6. 수송 분과 사실 현재 건물부문과 관려해서 용역 과제를 지원하고 배우는 부분

sustainableroutine.com

 

https://sustainableroutine.com/80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 ④ 에너지전환 분과

업무중 우연히 최근에 발간된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 분석 보고서"를 보았다. 글을 작성하는 시점에서 바로 얼마 전('23년 7월에 출간)에 나왔다. 전문가 집단의 동향을 들을 수 있는 회

sustainableroutine.com


[주제 1] 폐플라스틱 재활용 기술현황 및 국내외 정책동향

공주대학교 오세천 교수

(질의 1) 질문이 강의 내용에 연장하여 물어보고있음 (생략)

 

(질의 2) 해중합 기술에 대한 동향?

국내 R&D 투자로 개발된 기술을 사용하는 해외시장은 없는 상황임 최근 포스코가 유럽에 대규모 과제를 수주했다고하나, 해외의 기술을 구매하여 사용할 것으로 보임

 

(질의 3) 플라스틱의 경우 종류가 다양하고 플라스틱 녹는점이 다름. 또한 분리수거되는 페트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는데, 이는열분해시 장치 또는 온도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인지?

페트에서 나오는 오일이 산소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임

 

(질의 4) 유럽의 경우 철강을 포함하여 6개 국내 업체에서 탄소배출 보고서를 2026년부터 받기로 되어있음. SK, LG 화학적 재활용에 의한 재생원료 방법론을 진행하여 탄소배출시 중요한 결과로 나타날 수 있는지?

현재 화학적 재활용에 의한 재생원료 인정범위 및 방법론과 관련해서 전 과정을 보는 국가가 없어서 국내에서 선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보여짐

 

(질의 5) 미국이 석유 관련 기술을 처음 개발하였지만, 현재 석유 제품을 만드는 지역은 한국을 포함하여 중국, 대만이 석유사업을 집중하고 있음. 현재 폐플라스틱 재활용부분과 관련해서 한국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해도 되는지?

본인 중요한 역할을 기대한다는 내용

 

 

[주제 2] 탄소중립 농업 분야 대응 전략

전남대학교 최우정 교수

 

(질의 1) 농업분야에서 탄소량을 줄이고 있는 방법은 재배방법 관련 내용인데 품종별로 탄소 배출량이 다르다는 연구가 진행된 적이 있는지?

⇒ 논의 경우 뿌리가 분포되는 형태가 가장 중요함. 품종별로 연구를 진행한 적이 있어 통계적 수준의 유의성 확보가 된 것으로 알고 있으나 실제 정책적으로 영향을 끼치기는 어려움

 

(질의 2) 발표내용의 제언중에서 Tier 3 수준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였는데,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은 면적이 중요한데, 면적 산정에 대해 환경부는 현실적으로 어려움. 농업 분야는 어떤 상황인지?

⇒ 농업도 현실적으로 어려움. 때문에 제언으로 말씀드림

 

(질의 3) 혼농임업 관련하여 산림청, 농식품부 ,환경부가 함께 하면 좋을 것 같은데, 다른 부처에서 협력이 가능할지? 무논을 습지화하여 탄소흡수원으로 활용하는 방법으로 환경부와 협업이 가능한지?

⇒ 산림청에는 농림업이 포함되어 있음. 농경지에 나무심는 것을 제안하였고 농식품부에서 받아드린 것으로 알고 있음. 무논을 무조건 습지로 바꾼다는 것보다는 더 좋은 방안이 있으면 여러가지 방향으로 생각해보았으면 함

 

(질의 4) 최근 비닐하우스에 탄소발생기를 설치하여 하우스 안에 탄소를 뿌려주면 생육이 촉진되도록 재배를 많이 하는 것으로 알고있음. 실제 농가에서도 사용되는 예들이 많은지?

⇒ 시설재배 전문은 아니라 정확한 답변은 어려우나 co2실이 있음. 파프리카의 경우 천연가스를 태워 탄소를 공급하기도 함

 

원문 출처: 한국환경산업기술원, 2023

탄소중립 핵심기술 동향 및 전망분석 연구 보고서.pdf
3.19MB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