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실가스 실무

[용어간단설명] 전력거래시장 짱 쉬운 용어 설명 | REC, RPS, SMP가 뭔데? 🌩

반응형

 

RPS, REC, SMP

SMP가 낮아서~~ 블라블라

1REC가 얼마래 블라블라

RPS시장의 의무공급률은 어떻게 된대?

 

 

헷갈리기 쉬운 개념 정리

 

알면 짱 쉽지만

 

모르면 벙찌는 개념

 

 


RPS (Renewable Energy Portfolio Standard)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 제도

 

RPS제도란 공급의무자로 하여금 총 발전량의 일정 비율 이상을 신재생에너지로 공급할 의무를 부가하는 제도

 

공급의무자 기준 : 500MW 이상 대규모 발전설비를 보유한 발전사업자(단, 신재생에너지 설비는 제외)

 


 

REC(Renewable Energy Certificates)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

 

REC는 공급의무자가 "신재생 에너지를 이용하여 에너지 공급한 사실을 증명"하는 인증서

 

REC는 신재생에너지 발전소에서 생성되며, 1MWh의 전력을 생산할 때마다 발전소에 1REC가 부여됨

 

REC는 1. RPS 계약시장 2. 현물시장 3. RE100시장에서 거래 가능함

 

현물시장

경매형식으로 매주 화,목에 개설

계약시장
매도자인 발전사업자와 매수자인 공급의무자가 공급인증서 매매계약을 체결한 후에 계약 사실을 신고하면 됨
자체계약시장과 선정계약시장으로 구분됨

 

RE100인증서 거래시장
RPS의무이행에 활용되지 않는 여분의 재생에너지 REC를 거래하는 시장
RPS거래시장의 REC는 REC기준으로 거래가 체결되나, RE100 거래시장은 전력량(MWh)를 기준으로 거래가 체결됨


SMP(System Marginal Price) 계통한계가격

 

SMP는 전력시장에서 결정되는 전력의 가격

0시~24시에 1시간 단위로 다른 가격이 결정되며, 에너지원에 관계없이 모든 발전설비는 동일한 SMP를 적용받음
모든 발전소에서 전력을 판매해 나오는 수익은 동일한 SMP를 기반으로 계산됨

 

 

출처: https://enlighten.kr/

 

엔라이튼, 에너지 플랫폼

과기부 선정 글로벌 ICT 미래 에너지 유니콘 기업 엔라이튼. 플랫폼으로 재생에너지 패러다임을 바꿉니다.

www.enlighten.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