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온실가스 실무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통계는 어디에서 찾는 것인가! | 통계자료 찾느라고 헤맬 때 🤔

반응형

지금 돌아가고있는 발전량과 당장의 자료가 필요하다? 태양광 자료만 필요하다? 1번 재생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을 참고하고,

과거 자료가 필요하다? 에너지공단의 2번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자료를 참고 추천

 

KOSIS에서는 에너지공단이나 에경연?에서 작성한 통계 자료를 끌어오는 것이다보니,, 아무래도 원출처를 제공하는 기관자료를 찾아보는 것이 도움됨. 지역통계도 마찬가지..   

 

출처: SK E&S


 

1. 태양광 발전현황

장점 :

1. 전산망으로 연결되어 매일 자동 업데이트 됨  2. (발전소개소, 발전용량, 발전량) 알 수 있음 3. 기초지자체 단위까지 확인 가능

 

단점 : 

1. 현행화로 지난 과거자료의 트레킹 어려움 2. 기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확인 어려우며 오로지 태양광만 확인가능

https://recloud.energy.or.kr/main/main.do

 

재생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재생에너지 클라우드 플랫폼

recloud.energy.or.kr

 

2.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

장점 :

1. 모든 에너지원의 발전량과 생산량*을 알 수 있음

*생산량은 발전량에 수송/이동 까지 필요한 에너지를 포괄하는 양

2. 에경연에 있는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보다 더 빠르게 최신연도 자료가 업로드됨

국가에너지통계종합정보시스템 (2023년 현재 20~21년자료가 올라와있지 않음) vs 신재생에너지 보급통계(22년까지 업데이트됨)

 

단점 : 

1.  장기 시계열자료 확보 어려움

광역지자체 통계는 '10년부터 나오나, 기초지자체 통계는 '20년 자료부터 본격적으로 알 수 있어

 

https://www.knrec.or.kr/biz/pds/statistic/list.do

 

신·재생에너지센터 | 자료실 | 통계자료 | 통계자료

 

www.knrec.or.kr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