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비스 전과정 평가 방법 리포트를 보도록 한다.
제품의 전과정평가를 쉽게 잘 설명해둔 것 같아서 스크랩했다.
우선 아래 용어들은 정말 기본적인 것이니, 쉽게 설명해두었으니 한번 쓰윽 읽고 본문을 읽어보는 것을 추천
1) CBAM(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 유럽 연합이 수입하는 탄소 집약 제품에 대한 탄소 관세
2) 탄소발자국: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가 기후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지표
3) LCT(Life Cycle Thinking): 제품의 전과정에서 발생하는 환경 영향 및 전체 시스템을 파악하는 사고 활동
4) LCA(Life Cycle Assessment): 제품의 전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5)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로, 1990년 이래 매 5~6년 간격으로 기후변화 평가보고서 발간
6) GWP(Global Warming Potential): 온실가스가 지구온난화에 기여하는 정도로, 이산화탄소의 기여도가 1일 때 이와 비교한 영향 정도
자 그럼 시작!
1. 전과정평가 동향
배터리 탄소발자국
공급망 온실가스 관리를 넘어서 제품 단위의 전과정사고를 통한 온실가스 배출량 관리 요구로 확장됨
전과정 평가에 의한 환경 영향 정보는 소비자에게 환경성을 고려한 구매 활동에 도움을 주며, 환경 개선을 유도하는데 일조함
2. 탄소중립 추진 현황
2021년 12월 모비스 탄소중립 추진전략 수립
비전 및 목표 "Green Transformation to 2045 Net-Zero"
4대 추진전략
1. Green Plant
에너지 전환 및 효율화로 사업장 감축 가속화
2. Grren Supply
Scope3 감축을 위한 체계적 공급망 관리
3. Green Product
산업 패러다임 변화에 따른 탄소저감 제품 확대
4. Green Partnership
그린 생태계 조성을 위한 지속가능 파트너십 운영
3. 전과정평가 개요
전과정평가 개념
전과정평가(LCA)란 제품의 원료 채굴 및 생산부터 제품 생산, 재활용 및 폐기의 단계 에 이르는 전과정에서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방법
제품에 할당할 수 있는 전과정 환경 효과를 비교하는 것을 목표로 함
전과정평가의 방법론
환경경영체계 국제 표준 ISO14000 시리즈 중 ISO14040, 14044에는 전과정 평가에 대한 내용을 포함하고 있음
전과정 평가는 목적 및 범위 정의, 목록 분석, 영향 평가, 해석 총 4단계로 구성
영향 평가단계에서 영향 범주를 선택할 수 있으며, 영향 범주중에서 배출량 관련 범주는 자원 고갈, 지구 온난화, 오존층 파괴 등이 있음
전과정평가 계산 구조
1. 먼저 투입물과 산출물을 정의합니다. 투입물로는 부품 1, 부품 2, 부자재, 과정 연료를 가정하였습니다.
과정 연료란 전과정평가의 하나의 과정(process)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과정 연료의 사용으로 인해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서는 총 3가지에 대한 정보가 필요합니다.
첫 번째로 과정 연료의 비율입니다. 제품 생산 과정에서 사용하는 에너지원에 따른 사용 비율(예: 천연가스 60%, 중유 20%, 전기 20%)을 파악해야 합니다.
두 번째로 연소기술 비율입니다.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연소 기술에 따라서 온실가스 배출량이 상이합니다. 따라서 각 화석연료의 연소 기술 비율(예: 천연가스를 과정 연료로 사용 시 엔진 4%, 터빈 95%, 보일러 1% 비율로 연소)을 파악해야 합니다.
세 번째로는 배출계수입니다. 각 과정 연료별, 연소 기술별, 온실가스별 배출계수를 적용하여 과정 연료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합니다. 전기를 과정 연료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전기의 발전원 비율이 중요합니다. 화석 연료와 다르게 과정 연료의 비율이 아닌 발전원의 비율(예: 석탄 40%, 천연가스 30%, 재생에너지 30%)을 파악합니다. 이후 발전원의 연소기술 비율, 배출 계수를 이용하여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합니다.
부품 1, 부품 2, 부자재의 경우 각각의 생산을 위해 투입되는 원료가 있으며 부품 및 부자재 생산 공정에서 사용하는 과정 연료가 있습니다.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을 위해서는 투입되는 원료의 채굴 단계부터 생산 단계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이 포함되며 과정 연료로 인한 배출량까지 고려해야 합니다.
앞서 고려한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과정평가 대상에 해당하는 제품 1개 또는 1kg당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면 제품 생산 과정에서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이 됩니다. 위와 같은 방법을 이용하여 제품의 각 단계에 해당하는 모든 온실가스 배출량을 합산하면 ‘제품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의견
전과정 평가 계산 구조가 가장 궁금했는데, 가장 이해가 안되었다.
아무래도 영상이나 목소리를 통한 설명이 필요한 것인가 싶지만 그래도 아래 글에 나름 친절하게 설명한 것 같으니
그 부분은 아예 원문을 그대로 가져왔다.
사용하는 모든 부품마다 1. 과정 연료의 비율 2. 연소기술의 비율 3. 배출계수를 구하고나서
부품을 제품으로 생산하는 과정에서도 똑같이 1. 과정 연소의 비율 2. 연소기술의 비율 3. 배출기술 합산하다고 보면 될 것 같다.
자동차의 전과정 평가
★★★이것도 원문 그대로 가져왔다져왔다ㅓ. . ㅇ개인적인 의견ㅇ
자동차의 전과정평가는 크게 두 가지로 이루어집니다.
첫 번째로는 fuel cycle입니다. 단순히 자동차의 연료뿐만 아니라 발전원으로 쓰이는 연료도 포함되며 2차 에너지원에 해당하는 전기와 수소도 포함됩니다. 화석연료의 전과정은 원료의 추출부터 가공, 수입, 정제, 차량의 연료 주입을 거쳐 차량의 운행 단계까지 입니다. 전기차의 연료인 전기의 전과정은 발전원(예: 천연가스, 석탄, 중유 등)의 원료 채굴부터 생산까지의 단계에 해당하는 업스트림, 전기 생산, 송·배전, 충전 및 차량 운행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송용 연료에 대한 전과정평가는 ‘Well-to-Wheel(WtW)’ 평가라고도 불립니다. 이는 다시 연료 충전 단계까지를 의미하는 ‘Wellto-Tank(WtT)’, 연료 충전 단계부터 자동차 운행 단계까지에 해당하는 ‘Tank-to-Wheel(TtW)’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vehicle cycle입니다. Vehicle cycle은 자동차 제품에 관한 전과정평가입니다. 또한 원료의 채굴, 생산, 부품 생산, 제품 생산을 거쳐 자동차 조립 및 생산, 자동차 재활용 및 폐기 단계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원료 채굴 단계부터 재활용 및 폐기 단계까지를 ‘Cradle-to-Grave’라고 하며 제품의 사용 단계 전까지를 ‘Cradle-to-Gate’, 전과정의 한 단계는 ‘Gate-to-Gate’라 지칭합니다. 자동차 전과정평가 또는 자동차 부품의 전과정평가를 위해서는 vehicle cycle 각 단계에서 에너지가 사용되기 때문에 fuel cycle의 분석이 함께 이뤄져야 합니다.
4. 현대모비스 제품 전과정 평가:(DIH: Drum In hat)
파일럿 제품을 선정하여 자체 전과정평가 수행 (파일럿제품 DIH: Drum In hat)
온실가스 3종(co2, ch4, n20)
전과정범주 원료 채굴 및 생산, 부품 생산, 제품 생산, 수송, 제품사용
방법론은 미국 아르곤 국가연구소(Argonne National Laboratory)에서 개발한 GREET 모델(The Greenhouse gases, Regulated Emissions, and Energy use in Technologies Model)을 사용
DIH에 대한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출한 결과,
제품 사용 단계에서 약 94.5%, 원료 채굴 및 생산 단계에서 5.1%를 차지합니다.
제품 사용 단계에서 배출량이 높은 이유는 DIH가 내연기관 자동차의 부품이기 때문에 차량 배기구에서의 배출량을 DIH의 제품 무게로 할당 받기 때문입니다.
제품 사용 단계의 배출량을 제외할 경우, 원료 채굴 및 생산 단계에서 약 94.7%, 수송 단계에서 약 4.9%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을 차지합니다.
DIH의 원료 대부분은 철이며 철광석의 채굴 단계부터 철의 생산까지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이 대부분입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향후 현대모비스의 「탄소중립 추진전략」 방향과 일치함을 보여줍니다.
우선 가장 배출량이 많은 제품 사용 단계의 경우 전동화 부품의 개발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 저감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재활용 소재의 활용 비율이 높은 원소재와 같은 저탄소 원소재 구매 확대를 통해서 원료 채굴 및 생산 단계의 온실가스 저감을 실현할 수 있습니다.
이는 scope 3 배출량과도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정합성 있는 결과 산출과 더불어 고도화된 전략이 필요합니다. 마지막으로 부품 및 제품 생산 단계에서의 배출량은 상대적으로 매우 낮으나, 현대모비스는 지속적으로 제품의 경쟁력을 높이고 배출량 감축을 위해 친환경 공법과 소재를 개발하는데 힘쓰고자 합니다
5. 전과정평가 프로세스 구축 계획
전과정평가 프로세스 구축의 첫 단추는 바로 데이터 수집입니다.
현대모비스의 제품은 다양하고 하나의 제품 전과정평가를 위해서는 방대한 데이터가 필요합니다.
1차 데이터(Primary data)인 현대모비스의 각 사업장과 공급망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2차 데이터(Secondary data)에 해당하는 원료 단계 데이터, 배출 계수 등은 LCI DB를 통해 확보할 계획입니다. 이
를 통해 정합성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여 전과정평가 데이터 구축을 진행할 예정입니다. 이후 다양한 공급망의 데이터를 검토하고 제품의 특성을 고려한 전과정 범주를 설정하여 평가 체계를 고도화할 예정입니다. 평가 체계 고도화를 통하여 전동화 제품을 포함한 현대모비스의 핵심 제품들을 대상으로 전과정평가를 확대해 나갈 계획입니다.
5. 전과정평가 프로세스 구축 계획 제품의 전과정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각 단계별 환경 영향을 줄이기 위한 전략을 수립하고 이행하여 탄소중립에 기여하고자 합니다.
발간부서는 환경부서일텐데
앞으로 해당 부서에서 해야할 일이 많아보인다...
이만 총총
원문출처:
'온실가스 실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어간단 설명] 제3자 PPA, 직접 PPA | 이보다 쉽게 설명 할 수 없다🚄 (0) | 2024.04.03 |
---|---|
국내 신재생에너지 발전 통계는 어디에서 찾는 것인가! | 통계자료 찾느라고 헤맬 때 🤔 (0) | 2023.11.21 |
철강생산공정 (이보다 쉬울 수 없다 ver.) (0) | 2023.09.05 |
2023년 공공부문 외부감축사업 등록방법 (0) | 2023.08.10 |
국내 산림부문 온실가스 감축 제도(외부사업 vs 산림탄소상쇄제도) (0) | 2023.07.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