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국립환경과학원에서 자동차 온실가스 전과정평가 국제학술토론회를 열었다고 함
2021년도 취준생 시절
한 제조업 회사에 들어가고 싶었을 적에
전과정 LCA평가 관련한 일도 담당한다고 Job description에 있었음
이번에 기사를 보고 그때에 관련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 있는 건 아니었구나 하는 생각이 문득 !
앞으로 scope3범위까지 더욱 확장되어서 배출량 평가가 이루어진다고하면
전과정평가를 살펴보는 업무가 고도화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런 의미에서 국제학술토론회에서 진행한 요약본을 통해 "essential"한 이야기만 짚고 넘어가도록 한다!
정말 딱 두 가지, 전과정 평가에서 살펴볼 요소, 그리고 현재 국제표준이 있는가? 없다! 끝!
1. 자동차 전과정평가란?
자동차 제작과정(원료채취 및 부품 제조 생산 포함) 및 운행단계(주행거리), 폐기단계 동안의 전 과정 자원투입량과
온실가스 배출량을 정량화하고 총 온실가스 배출량을 평가하는 체계를 말한다.
내연기관 | 전기차 배터리 | |
1. 제조 전단계 | 자동차 제조에 소요되는 원료의 채취 가공, 원료 사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품의 제조(가공성형 포함) 과정 등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자동차배터리 제조에 소요 되는 원료 (리튬, 니켈 등)의 채취가공, 원료 사용을 통해 만들어지는 부품의 제조(분리막 등) 과정에서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2. 제조 단계 | 프레스,차체 제작, 도장, 의장, 포장, 운송등 판매 전 단계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부품 조립 등 배터리 제조, 포장, 운송 등 판매 전 단계까지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배터리 제조에 필요한 에너지 사용량, 운송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등 |
3. 사용 단계 | 자동차에서 판매되어 운행되는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연료의 전과정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및 교체 부품 소모품(오일, 필터 등)에 대한 제조 전단계부터 제조단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 정보 |
전기자동차가 운행되는 동안 사용하는 전력을 생산하는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 전기자동차 LCA까지 고려할 경우 충전 시 사용되는 전기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배출량 고려 |
4. 폐차 단계 | 폐차 재활용공정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연료 오일회수, 부품 해체 및 재활용 처리, 파쇄 및 철 비철회수, 불용품 더스트 처리(소각)등 |
폐기 재활용공정 동안 발생하는 온실가스 배출량 귀금속 회수, 부품 해체 및 재활용처리, 파쇄, 불용품더스트 처리(소각)등 |
2. 자동차 전과정 평가에 대한 국제 표준화된 방법이 있는지?
현재까지 표준화된 방법은 없음
UN ECE(유럽경제위원회) WP(자동차 규제 일치화 세계 포럼) 산하 GRPE(에너지환경분과) 내에서 2025년 11월까지 표준화된 방법 마련을 목표로, 자동차 전과정평가 전문가 작업반을 2023년부터 구성하여 운영하고 있음
출처: 환경부 보도자료(2023.4.6)
반응형
'탄소중립 최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철강산업 CCUS(이산화탄소포집기술) 국내 상용화 현황 (0) | 2023.06.01 |
---|---|
(용어설명) 블루카본, 그린카본, 블랙카본 (0) | 2023.05.19 |
CCUS 산업 기술혁신 추진(안) 2023.04.10 (0) | 2023.04.12 |
EU 그린딜 산업계획('23년 2월 버전) (0) | 2023.04.11 |
제3자 전력거래계약(Power Purchase Agreement,PPA)이란? (0) | 2023.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