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탄소중립 최신 이슈

철강산업 CCUS(이산화탄소포집기술) 국내 상용화 현황

반응형

사진 출처: 철강금속신문

오늘의 짧은 녹색기술현황 톺아보기!

무려, 포스코 경영연구원에서 발표한 자료

발간부서로 보아하니 경영연구원에서도 철강연구실이라고 하는데, 이슈브리프에서 어떤 내용인지 궁금해서 열어보았다.

23년 5월 24일 버전이므로, 포스코에서 발간한 최근 리포트

결론은 3~4년전과 같은 이야기였다.. 2023년 현재에도 CCUS 상용화는 어려운 걸로..

우선 포집하는 기술능력보다는 저장 공간이 없고 상용화를 위해서는 효율 개선이 첫번째 인 듯하다.

돈과 정책적 지원이 막대하게 필요하다.

 

참고로 포스코는 우리나라 1위 다배출 기업이다. (국가배출량 기준 약 10%차지)

현재 사용하고 있는 고로의 BF-BOF 방식은 1톤당 약 1.9톤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음

철강생산 과정에서 배출되는 온실가스 배출량은 어떻게든 줄여야 포스코의 미래가 보인다고 해야할까

못 줄이면 수출제한, 혹은 높은 탄소배출권 가격으로 수지타격

줄이려고 하면 기술개발이 필요한데, 현재 돈이 어마어마하게 들어가는 상황. 결론 이러지도 저러지도.

Executive Summary는 아래와 같다. 


- 세계 철강 생산의 70%를 점유하는 BF-BOF 설비가 존속하면서 CO2 감축 목표를 달성할 현실적 대안이 CCUS 기술이나, 아직 상용화까지는 갈 길이 멂.

=> (쉽게 요약) 필요한 건 아는데 결국 이미 있는 설비를 없앨 수 없고, 상용화까지 멀다멀어

- 철강 CCUS 상용화가 부진한 이유는 ① 대형 고로에서 나오는 배가스에 25% 미만 함유된 CO2를 대량 포집해야 하는 기술의 현실적 제약, ② CO2 포집에 필요한 에너지 비용 및 설비투자 비용 부담, ③ CO2 운송 비용과 저장 공간 등 관련 인프라 부족 때문임.

=>  (쉽게 요약) 대량 CO2를 포집할 만한 돈과 공간이 없어

- 철강 CCUS의 미래를 예단하기 어려우나, CCUS 없는 넷제로 달성이 매우 어려운 것이 현실이므로 지속적인 CCUS 기술 개발과 정책적 지원이 요구됨.

=>  (쉽게 요약) 정부에서 정책 및 기술개발 보조금 지원해줘

- CCUS 상용화를 촉진, 확산하려면, 1) 미국과 같은 세액공제 및 보조금 정책, 2) 클러스터 형태로 집적화된 CCUS Hub 등 탄소 CO2 운송, 저장 관련 인프라 투자, 3) 탄소 포집 효율과 처리 용량을 향상시키는 업계의 기술 개발 노력이 병행되어야 함.

=>  (쉽게 요약) 미국에서는 이미 지원해주고 있어~

사진출처: 포스코 경영연구원

출처: https://eiec.kdi.re.kr/policy/domesticView.do?ac=000017570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