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에 인터넷 리서치 사이트에서 블루카본 개념 인지도 및 관련 국민 정책 수용성에 대한 조사에 참여했었다!
이 글을 작성한 시점에서 바로 어제..
해양수산부나 관련 부처에서 해당 개념과 국내 갯벌을 탄소중립 흡수원으로 인정받기 위한 노력으로
관련 연구용역을 진행하는 것이 아닐까 추측된다. 그래서 환경용어 정리를 한번 해보자! 라고 짧게 올리려고 한다.
오늘은 용어정리이므로, light 하게!
탄소(C)
탄소를 인터넷에 검색하면 단일 결합, 이중결합, 삼중결합이 가능하고 다양한 형태로
탄소는 수소, 헬륨, 산소 다음 네 번째로 많은 질량을 차지하고
체내에서는 산소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음 블라블라로 설명된다.
오늘은 환경분야에서 말하는 탄소 및 카본 관련한 용어를 설명하도록 한다.
인위적인 기후변화의 대표 주범으로 온실가스를 꼽지만,
실제로는 온실가스를 발생시키는 여러 물질 중에서 이산화탄소~를 꼽으며 (이산화탄소말고도 국제사회에서 규정한 온실가스는 총 6개가 된다. 하지만 주된 원인은 이산화탄소이기때문에 여기서는 그 이야기는 생략)
환경용어의 카본은 말그대로 원소기호 그대로의 탄소(C)가 아닌
이산화탄소(CO2)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듯하다!
탄소중립에서 말하는 탄소량 저감에서는, 주로 이산화탄소를 줄여서 탄소라 부르기도 한다.
그린카본, 블루카본, 블랙카본 정리!
자연에 존재하는 탄소는 환경에 따라 분류되며
그린카본, 블루카본, 블랙카본으로 구분되며, 지구와 기후에 미치는 영향은 상이하다. 블라블라블라
라고 인터넷을 치면 많이 나오는 것으로 보여진다.
여기서 말하는 그린,블루카본할 때 카본의 개념은 이산화탄소의 흡수하고 있는 카본(탄소)흡수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주로 그린은 육지생태계, 블루는 해양생태계라고 보면 아주 깔끔하게 이해가 된다.
그리고 블랙카본은 우리가 흔히 하는 이산화탄소 방출원이다.
즉, 카본은 이산화탄소를 말하고 색깔로서 흡수하고, 방출하는 개념을 표현했다고 보면 된다.
▼아래는 여러 웹사이트에서 참고한 그린카본, 블루카본, 블랙카본의 개념이다!
그린카본?
육상 생태계가 흡수하여 저장하는 탄소로
녹색식물의 엽록소가 광합성 과정을 통해 이산화탄소를 흡수
그린카본은 이산화탄소를 흡수하고, 산소를 배출함으로 대기를 정화함
블루카본
블루카본은 바다와 습지등 해양 생태계가 흡수하는 탄소
이산화탄소가 대기 중으로 나오지 못하고 갯벌 혹은 바닷 속에 저장
혹은 산소가 차단되어 유기물을 분해하는 박테리아가 호흡하지 못함
2009년 국제자연연맹 보고서에서 처음 등장한 개념
탄소 흡수속도가 그린카본보다 최대 50배 빠르고, 탄소 저장에도 용이한 장점을 가지고 있음.
(이건 내 생각) 국내에서는 잘 발달 된 갯벌을 국제적인 블루카본으로 공인받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이 글을 쓰기위해 찾아보니 갯벌의 탄소흡수를 보고 한국형 블루카본의 탄생이라고 표현하기도 하는데,
갯벌의 쓰임을 이산화탄소 흡수원으로 활용하려는 여러 시도들이 나타난다.
블랙카본
블랙카본은 탄소를 흡수하는 그린카본, 블루카본과 다르게 배출하는 탄소
불완전 연소시 고형입자로 탄소가 배출되는데, 블랙카본은 이산화탄소의 형태로 대기에 배출되어 온실효과를 유발함
메인출처:
https://blog.naver.com/kma_131/222784109127
탄소에도 색깔이 있다? 그린카본, 블루카본, 블랙카본
제14기 기상청 국민참여기자단 김소연 1 탄소의 정의 및 특성 탄소는 모든 생명체의 기본이 되는 구성요소...
blog.naver.com
'탄소중립 최신 이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뉴욕시 기후변화대책 | 음쓰 분리수거 (0) | 2023.06.12 |
---|---|
철강산업 CCUS(이산화탄소포집기술) 국내 상용화 현황 (0) | 2023.06.01 |
자동차 전과정 평가 현황( +그럼 전기차는?) (0) | 2023.04.12 |
CCUS 산업 기술혁신 추진(안) 2023.04.10 (0) | 2023.04.12 |
EU 그린딜 산업계획('23년 2월 버전) (0) | 2023.04.11 |